우리나라와 중국은 인접한 국가로 고대부터 많은 문화교류를 통한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였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며 발전해 왔다. 여러 문화적 교류 가운데 무술 분야의 교류도 일찍이 있어 왔고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무술은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의 문화유산 중 하나로 유구한 역사 속에서 발전하였다. 고대 생존경쟁을 위한 수단으로 원시종교, 오락의 한 형태로 시작하여 점차 정형화되었다. 사나운 맹수에 쫓기고 날랜 짐승을 사냥하면서 육체적 기능이 향상되었고, 석기부터 청동기, 철기로 이어지는 무기의 발달에 따른 이를 사용하는 무기술도 함께 발전하였다. 오래전부터 중국과 한국 양국 간의 무술 교류가 있어 왔지만, 공식적인 기록으로 살펴보면 조선시대 임진왜란의 발발에 따른 『무예제보』의 발간은 중국무술을 공식적으로 수입한 한 증거이다. 조선군이 일본군에게 크게 패배한 결과 선조 임금은 조선군의 군제를 개편할 필요성을 느끼고 1598년 명나라 척계광(戚繼光) 장군의 『기효신서』를 참고로 하고 명나라 장수 허국위(許國威)의 지도 아래 곤봉(棍棒), 등패(藤牌), 낭선, 장창(長槍), 쌍수도(雙手刀), 당파 6기의 도보를 만들어 병사들을 훈련하였다. 『무예제보』는 그림과 함께 언해가 수록되어 있어 일반 백성들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따라 할 수 있도록 만든 무예서이다. 오늘날은 중국무술에 대한 인식변화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그 인기가 많이 떨어졌으며 많은 중국무술관이 문을 닫는 실정이다.본 글에서는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 유산의 하나인 중국무술의 도입 과정과 화교에 의해 국내에 보급된 중국무술이 대중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중국무술의 전승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시기에 따른 중국무술에 대한 인식변화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