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강봉문 가옥

처음으로

너와집 icon강봉문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문의재로 1423-66(조사 당시 도계읍 신리3반)에 위치해 있다. 신리는 마을 북쪽의 문의재터널과, 남쪽의 신리교, 서쪽의 427번 지방도를 통해 들어올 수 있다. 마을 남쪽 경계에 있는 신리교에서 780m 가량 올라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면 신리 교회가 있다. 신리 교회 북쪽으로 2km정도 올라가면 문의 2교로 들어서는 길목에서 왼쪽에 마을 입구가 있는데,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강봉문 가옥이 있다. 강봉문 가옥이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도계읍 신리는 옛 화전지대로 1974년 민속보호구역으로 지정됐지만 많은 집들이 슬레이트 지붕으로 바뀌자 1975년 10월 김진호 가옥, 강봉문가옥, 9개의 민속유물을 중요민속자료 33호(현 국가민속문화유산) “삼척 신리 너와집과 민속유물”로 지정했다.

1970년 강봉문 가옥 1970년 강봉문 가옥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배치/평면/구조

가옥 본채는 남서향이며, 부속채는 방앗간, 헛간이 있으며, 남동쪽 방향으로 약 0.5km 정도 내려가면 계곡에 강봉문이 소유하고 있던 통방아가 있다. 가옥 본채의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집으로, 용마루 아래 두 줄로 나란히 이어져 있는 6칸짜리 양통집이다.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방4개가 있는데, 방의 명칭에 대해서 보고서마다 차이가 있는데 1994년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에는 사랑방, 안방, 도장방이라고 한다. 사랑방과 안방 앞쪽에는 외양간, 봉당, 부엌이 붙어 있다. 구조는 3평주 5량의 맞걸이 집으로, 기둥과 보, 기둥과 도리는 모두 사괘맞춤으로 정교하게 짜 맞추어져 있다. 초석은 모두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덤벙주초이다.

강봉문 가옥 평면도『삼척신리소재 너와집 및 민속유물』, 1975 강봉문 가옥 평면도
『삼척신리소재 너와집 및 민속유물』, 1975
강봉문 가옥 평면도『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1994 강봉문 가옥 평면도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1994
방앗간 방앗간
헛간 헛간
가구 상세 1
가구 상세 2
가구 상세 3
가구 상세 4
가구 상세

지붕

너와를 여러 겹 이은 후 용마루 부분을 굴피로 얹었는데, 합각 부분에는 까치구멍을 내었다. 너와와 굴피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큰 돌과 통나무(너시래)를 지붕 위에 올려 놓았다. 천장은 고미반자로 마감했는데, 마루 부분은 서까래를 노출한 연등천장이다. 고미반자는 지붕 아래 다시 한 번 흙을 깐 두꺼운 천장을 설치한 것으로 보온에 유리하다.

지붕 까치구멍 지붕 까치구멍
지붕 너와 상세 지붕 너와 상세

실별 특징

사랑방에는 봉당 및 외부와 직접 연결된 외닫이 문이 있다. 도장방에는 평소에 곡식을 보관했고 손님의 잠자리로 사용되기도 했다. 사랑방에 붙어 있는 도장방에는 마루와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외닫이 문이 있고 사랑방에서 직접 출입할 수 없다. 안방에는 마루와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외닫이문이 있다. 안방에 있는 도장방은 안방에서만 출입할 수 있다.

마루 마루
부엌 부엌
봉당 시렁 봉당 시렁
외양간 외양간
방앗간 디딜방아 방앗간 디딜방아

관련 유물

1975년 문화재 지정 당시 강봉문이 소유하고 있던 통방아가 함께 지정됐다. 1975년 「삼척신리소재 너와집 및 민속유물」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마을에 3개의 통방아가 있었는데 그 중 강봉문 소유 통방아가 문화재로 지정됐고 나머지 2개는 현재 모두 사라졌다. 통방아는 물의 힘을 이용해 곡식을 찧는다는 점에서 물레방아와 같으나 수량이 적은 데 설치한다. 물방아 또는 벼락방아라고도 하는데, 물이 차면 공이가 치켜졌다가 물이 쏟아지면 앞이 무거워 내려 꽂히면서 공이가 확의 곡식을 찧게 만들었다. 통방아의 공이 위에는 원추형으로 지주목을 세우고 싸리나무로 외피를 덮은 덧집을 만들어 놓았다.

통방아 통방아
물통 물통
공이 공이
방아머리 방아머리

현황

2024년 현황 사진(2024년 7월 촬영) 2024년 현황 사진(2024년 7월 촬영)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