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구용수 가옥

처음으로

겨릅집 icon구용수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3반 두만동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 구용수 가옥은 사라지고 위치를 기억하는 사람도 없어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1991~1993년 조사 당시 구용수 가옥은 빈집이었기 때문에 구용수 가옥이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배치/평면/구조/지붕

방 2개에 부엌이 붙은 3칸 홑집으로, 방은 귀틀로 짰다. 벽체를 구성하는 통나무 사이를 짚이나 풀을 넣은 진흙을 발라 마감하는 수법을 사용하였다. 각 귀틀이 만나는 모서리는 자연석을 벽체에 따라 열을 지어 깔았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슬레이트를 얹었는데, 원래는 새, 겨릅, 너와, 굴피 등으로 지붕을 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슬레이트 위에는 잡목을 올려 지붕이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구용수 가옥 평면도 구용수 가옥 평면도

실별 특징

웃방과 사랑방은 각각 앞뒤로 외여닫이문이 있어 외부로 출입할 수 있고, 각 방은 미닫이 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엌은 아래에 쌍여닫이문이 있다. 부엌은 왼쪽에 솥 1개를 걸 수 있는 부뚜막이 있다. 또한 안방과 사랑방 외부에 마루가 있다. 부엌문의 반대쪽으로는 연료인 땔감들이 놓여있으며 부뚜막의 반대쪽 벽에는 간단한 농기구들이 보관되어 있다. 방에는 2개의 통나무를 이용해 시렁을 만들어 그 위에 이불과 간단한 가재도구를 올려 놓았으며 방의 천장은 종이로 도배 되어 있다.

귀틀 상세 1 귀틀 상세
귀틀 상세 2
지붕 가구 상세(고미보) 지붕 가구 상세
(고미보)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