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김형출 가옥

처음으로

겨릅집 icon김형출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중봉당골길(조사당시 중봉리 3반)에 위치해 있었다. 중봉리는 마을 남부에 있는 백두대간로를 지나 중봉교를 건너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진입할 수 있다. 중봉리에 들어서면 중봉리 마을회관이 나타난다. 마을회관에서 북쪽으로 약 1.3km를 가면 나오는 중봉교를 지나 오른쪽 길로 진입하여 약 600m를 더 가면 나타나는 중봉 2교가 나오는데 여기서 약 430m를 더 가면 중봉 3교가 나오고, 더 북쪽으로 약 880m를 가면 오른쪽에 나타나는 터골교가 나온다. 여기에서 약 730m를 가면 나오는 갈림길에서 왼쪽 길로 진입하여 약 310m를 가면 김형출 가옥 터가 있다. 조사 당시 김형출 부인에 따르면 김형출 가옥은 1943년 신축됐는데, 6.25전쟁이 끝난 이후 자식들이 늘어남에 따라 증축했다고 한다.

김형출 가옥 평면도 김형출 가옥 평면도
김형출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김형출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배치/평면

사랑방, 안방, 부엌 및 외양간이 붙은 ㅡ자형 귀틀집이다. 처음 집을 지을 때는 방1칸 부엌 1칸이었는데, 이후에 사랑방을 증측했다. 이것은 건축 기법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기존 공간은 소나무와 잡목의 통나무를 귀틀 구조로 축조한 반면 확장공간은 기둥과 흙벽으로 벽체를 구성했다. 귀틀은 엎을장과 받을장으로 구성했는데 엎을장과 받을장에 홈을 파지 않고 원목 그대로 쌓았기 때문에 그 틈 사이를 진흙으로 메웠다. 부엌의 벽은 가는 나무나 수수깡 등으로 가로·세로로 얽은 외(椳)에 진흙을 바른 심벽구조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으로 겨릅을 얹었고 바람에 겨릅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긴 통나무를 올렸다.

김형출 가옥 조사야장(입면도) 김형출 가옥 조사야장(입면도)
귀틀 상세 1 귀틀 상세
귀틀 상세 2
고미반자 고미반자
겨릅 상세 겨릅 상세

실별 특징

사랑방은 외부와 출입하는 외여닫이문이 있으며, 도장방은 사랑방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부를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다. 안방은 부엌과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외여닫이 문이 하나씩 있다. 부엌은 쌍여닫이 문이 있어 외부로 출입할 수 있으며, 대형 가마솥을 놓을 수 있는 아궁이 1개와 화티가 설치되어 있다. 원래는 2개의 솥을 설치했으나 1개는 폐쇄된 것이라고 한다. 아궁이 뒤쪽으로 구유가 놓여 있으며 외양간으로 이용했는데 조사 당시에는 소를 키우지 않았다.

배면 배면
창호 창호
부엌문 부엌문
성주 성주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