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대이리 굴피집

처음으로

굴피집 icon대이리 굴피집

위치/내력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환선로 864-2에 위치해 있다. 대이리로 들어올 수 있는 환선로를 통해 약 4km를 가면 환선굴 매표소가 나온다. 매표소를 지나 약 500m를 더 가면 길가 오른쪽에 식당이 나오는데, 그 식당 건물을 들어가면 마당과 함께 대이리 굴피집이 나온다. 대이리 굴피집이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1989년 중요민속자료 223호(현 국가민속문화유산) “삼척 대이리 굴피집”으로 지정되었다.

배치/평면/구조/지붕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집(양통집)이다. 마루를 중심으로 사랑방과 안방이 양쪽에 있으며 마루 뒤쪽 반칸에는 도장방을 만들었다. 마루 앞쪽으로 부엌과 봉당이 있는데 부엌은 대체로 안방 앞쪽 1칸을 쓰고 나머지는 봉당으로 쓴다. 사랑방쪽으로 외양간은 한칸 달아내었다. 구조는 평주 5량으로 도리 아래에는 장혀가 있고, 추녀 끝은 기둥 없이 중도리와 중보가 만나는 곳에 걸쳤다. 초석은 모두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덤벙주초이다. 지붕은 굴피로 되어있는데, 합각 부분은 까치구멍으로 열어 두었다.

대이리 굴피집 평면도 대이리 굴피집 평면도
대이리 굴피집 조사야장(평면도) 대이리 굴피집 조사야장(평면도)
가구 상세 1
가구 상세 2
가구 상세 3
가구 상세 4
가구 상세 5
가구 상세
굴피지붕 굴피지붕
지붕 처마 상세 지붕 처마 상세
굴피 상세 굴피 상세

실별 특징

3개의 방 모두 외부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외여닫이문이 있으며, 중앙의 마루로 통하는 출입문을 만들었다. 안방과 사랑방에는 코클이 설치되어있어 부분 난방과 조명의 기능을 했다. 부엌은 3칸으로 1칸은 조리공간, 2칸은 봉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부엌의 조리공간은 안방과 마주한 곳으로, 2개의 가마솥을 걸 수 있는 부뚜막과 불씨로 사용할 숯덩이를 보관하는 화티가 있다. 사랑방을 마주한 곳에도 1개의 큰 솥을 걸 수 있는 부뚜막이 있지만, 조리용도는 아니다. 부엌의 양쪽에 있는 부뚜막을 통해 집안을 난방한다. 외양간의 상부에는 다락을 설치하여 여물이나 간단한 공구 등을 보관했다.

부엌 부엌
화티 화티
코클 코클
외양간 외양간
부엌문 부엌문
성주 성주

현황

현재는 식당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이리 굴피집 현황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