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이종석 가옥

처음으로

겨릅집 icon이종석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판문길(조사 당시 판문리 5반)에 위치해 있었다. 정선군 사북읍에서 소금강로를 따라 북쪽으로 약 8km를 간 이후 오른쪽 길로 가면 하장면 판문리가 나온다. 판문리를 들어오는 길에서 판문교를 지나 약 2km를 가서 왼쪽 길로 가면 산길이 나오는데 산길을 따라 약 1km를 가면 이종석 가옥 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종석 일가는 증조부부터 판문리에 살았다고 하는데, 이종석 가옥은 조사 당시 집 주인 증언에 따르면 약 100년 전에 지어졌다고 한다.

1971년 이종석 가옥 1971년 이종석 가옥
1991 이종석 가옥 1991 이종석 가옥
2009 이종석 가옥 2009 이종석 가옥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배치/평면/구조/지붕

정면 2칸, 측면 2칸의 田모양의 겹집(양통집)이다.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에 사랑방, 봉당, 외양간이 있고 후면에 도장방, 안방 부엌이 있는데 사랑방 앞쪽으로 작은 툇마루를 달았다. 평주 5량집으로, 기둥과 보는 사괘맞춤으로 정교하게 짜 맞추어져 있다. 도리 아래에는 장혀가 없고, 초석은 모두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덤벙주초이다. 지붕은 겨릅이지만 다른 민가와 달리 건새집으로 지었다. 건새집이란 지붕의 산자 밑에 젖은 흙을 바르지 않고 그대로 둔 것을 말한다. 지붕의 합각은 까치구멍으로 열어두었다. 천장은 고미반자로 마감했다.

이종석 가옥 평면도 이종석 가옥 평면도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종단면도) 이종석 가옥 조사야장(종단면도)
가구 상세 1 가구 상세
가구 상세 2
고미반자 고미반자
겨릅 상세 겨릅 상세

실별 특징

안방과 사랑방, 도장방 모두 외부로 직접 출입할 수 있는 외여닫이문이 있으며, 도장방은 안방의 별실로 되어 있어 안방에서 출입할 수 있다. 안방과 사랑방에는 부뚜막의 토단에서 출입할 수 있는 외여닫이문이 있다. 부엌은 2칸으로, 조리 공간과 봉당을 각각 1칸씩 사용하는데 조리 공간과 봉당의 부뚜막은 각각 3개와 1개의 가마솥은 걸 수 있으며, 부뚜막들은 토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랑방 쪽 부뚜막에는 화티가 설치되어 있다. 외양간에는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쌍여닫이문이 있으며,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만들어 소의 여물이나 농기구를 보관하였다.

부엌 부엌
방앗간 방앗간
화티 화티
변소 변소

이종석 가옥 생활유물

감자 저장고 감자 저장고
보그레 보그레
물레 물레
후리개와 밧대 후리개와 밧대
톱
봉생이 봉생이
여물바가지 여물바가지
옥수수 부수는 틀 옥수수 부수는 틀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