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박귀동 가옥

처음으로

겨릅집 icon박귀동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장전길, 민영수 가옥, 임상규 가옥 근처에 있었다. 정선 알파인 리조트에서 서북쪽으로 장전터널을 지나 장전교를 지나기 전에 왼쪽 길로 들어서면 장전리에 들어올 수 있다. 장전리 길을 따라 2.85km를 가면 양갈래 길이 나오는데, 오른쪽으로 다리를 건너서 약 670m를 가서 다시 왼쪽 길로 들어서야 한다. 그곳에서 약 675m를 가서 왼쪽 길에 있는 다리를 건너 오른쪽 길로 약 360m가량 가면 오른쪽의 산길이 보인다. 산길을 따라 약 270m를 가면 박귀동 가옥이 있던 터가 있다. 박귀동 가옥이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배치/평면/구조/지붕

웃방과 아랫방 옆으로 부엌과 외양간이 직각으로 붙어 전체적으로 ㄱ자형 평면을 보인다. 웃방과 아랫방은 귀틀이며, 부엌과 외양간은 양철로 되어 있는데 후대에 소를 기르면서 증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양간은 옆으로 장작 등을 쌓아 겨울에 대비하는 창고의 역할도 겸한다. 지붕은 슬레이트를 얹었는데, 구조는 고미보 위에 대공을 올려 종도리를 걸고 그 양쪽으로 서까래를 보냈으며 벽체의 상부에 원형의 처마도리를 올리고 그 위로 서까래를 지나가게 하여 서까래 상부의 하중을 받도록 했다. 변소는 가옥에 없고 별채로 있다.

박귀동 가옥 평면도 박귀동 가옥 평면도
귀틀 상세 귀틀 상세
가구 상세 (고미보) 가구 상세 (고미보)
고미반자 고미반자

실별 특징

웃방의 측면에는 2짝의 미서기 창문이 설치되어 채광과 환기를 돕고 있는데 여느 귀틀집에서도 보지 못한 형태이다. 방과 방 사이에는 직접 출입할 수 있는 2짝의 미서기문이 설치어 있는데 방의 문은 모두 세 살문의 형태이나 문살이 매우 투박하다. 부엌에는 부뚜막과 화티 비슷한 불씨를 붙어 두는 장소가 따로 있다. 이 부뚜막 외에 부엌 바닥에 1개의 솥을 걸 수 있는 조그만 부뚜막이 있고 잔치 등 집안의 대소사에 많이 쓰이는 철제 화로가 있다. 솥은 모두 2개가 걸려 있으며 물, 국, 밥을 하는데 이용되고 소의 여물을 쑤는 데도 이용된다.

안방 안방
안방 미서기문 안방 미서기문
창호 창호
외양간 외양간
부엌 부엌
한데 부엌 한데 부엌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