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박장수 가옥

처음으로

너와집 icon박장수 가옥

위치/내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 1길(조사 당시 도계읍 신리 3반) 이인수 가옥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있었다. 신리 마을 삼거리에서 오른쪽 길로 가면 왼쪽의 둔지교를 건너 왼쪽 길을 따라 약 300m를 올라가면 이인수 가옥이 나타나는데, 이인수 가옥의 옆에 있는 길을 따라 약 180m를 올라가면 길 끝이 박장수 가옥의 터이다. 박장수 가옥이 언제 지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없지만 1991년 조사 당시 집주인의 말에 의하면 건축한 지 약 100년 정도 되었다고 한다.

1970년 박장수 가옥 1970년 박장수 가옥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박장수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박장수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배치/평면/구조/지붕

정면 2칸, 측면 2칸의 겹집(양통집)으로 정면은 북서방향으로 두고 있다. 마루를 중심으로 방 3개가 붙어 있는데 도장방은 안방에서만 출입할 수 있다. 안방에 부엌이 붙어 있고 마루 쪽으로 작은 봉당과 외양간이 있다. 외양간에는 작은 변소가 붙어 있다. 사랑방에는 작은 쪽마루를 달았는데 내부 마루에서도 나갈 수 있도록 미닫이 문을 냈다. 사랑방, 안방, 마루, 부엌에는 모두 반자를 해서 상부 구조를 볼 수 없으나 도장의 천장 구조를 봐서는 방에는 모두 고미반자를 친 듯 하다. 기둥과 보, 기둥과 도리는 모두 사괘맞춤으로 정교하게 짜 맞추어져 있는데 경사진 대지를 이용하기 위해 기둥 중간에 홈을 파고 도리에 촉을 만들어 끼워 경사지에 맞도록 기둥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지붕은 슬레이트를 얹었는데 원래는 너와지붕이었다고 한다. 지붕의 형태로 보아 까치구멍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슬레이트로 막혀 있다. 천장은 고미반자로 마감했는데, 고미반자는 지붕 아래 다시 한번 흙을 깐 두꺼운 천장을 설치한 것으로 보온에 유리하다.

박장수 가옥 평면도 박장수 가옥 평면도
박장수 가옥 조사 야장(평면도) 박장수 가옥 조사 야장(평면도)
가구 상세(사괘맞춤) 1 가구 상세(사괘맞춤)
가구 상세(사괘맞춤) 2
마루 귀틀 1 마루 귀틀
마루 귀틀 2

실별 특징

안방과 사랑방은 직접 외부와 연결된 외여닫이문 형태의 출입문이 있으며 마루 방향으로도 출입문이 있다. 다만 도장방은 안방으로만 출입할 수 있다. 도장방에는 상부에 통나무 2개를 벽체에 걸어 시렁을 만들어 보따리, 옥수수 등을 올려 놓았고 지금은 이 방에서 자녀들이 자기도 한다. 도장의 측면에는 조그만 살창이 있어 채광을 돕고 있다. 부엌에는 안방 쪽으로 3개의 솥을 걸 수 있는 부뚜막이 있는데, 1칸은 조리공간으로 반칸은 봉당으로 사용한다. 부뚜막 왼쪽으로는 벽면에 화창(두둥불)이 있는데 조사 당시에는 흙으로 메워져 사용하지 않는다. 부엌 뒤쪽, 출입문 옆에 한데부엌을 설치하여 2개의 솥을 걸 수 있으며, 잔치날이나 손님맞이에 사용하였다. 마루 한쪽 옆에는 화티가 있었으나 조사 당시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외양간에는 다락을 만들어 소의 먹이나 공구를 보관했다.

헛간 헛간
부엌 부엌
부뚜막 부뚜막
외양간 외양간
두등불 두등불
조사야장(두등불) 조사야장(두등불)
화티 화티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