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송이헌 가옥

처음으로

겨릅집 icon송이헌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벗밭길(옛 우전마을)에 위치해 있었다. 장전리 우전마을은 숙암리에 있는 리조트에서 북쪽으로 약 280m를 가면 오른쪽에 있는 숙암교를 건너야 한다. 숙암교에서 오른쪽 길로 가서 산길을 따라 약 2.2km를 가면 오른쪽에 우전교가 나온다. 우전교에서 약 1km를 가면 송이헌 가옥이 있었던 곳이다. 송이헌 가옥이 언제 지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우전 마을 입향 유래에 대한 마을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6.25전쟁으로 피난 온 사람들이 장전리에 많이 정착했다고 하니 그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우전마을은 특히 평안도 사람들이 많이 피난 왔다고 한다.

1970년 송이헌 가옥 1970년 송이헌 가옥

출처: 국토지리정보원

배치/평면/구조/지붕

3칸 귀틀집으로 정면은 남서쪽이다. 사랑방과 웃방, 아랫방, 부엌으로 되어있는데, 원래는 3칸 이었는데 중간에 사랑방의 가운데를 막아 2칸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귀틀 사이는 진흙으로 채웠고, 가옥의 전면에 시멘트로 약 1100mm의 단을 만들어 쪽마루 역할을 대신하게 했다. 지붕은 합각지붕으로 슬레이트로 이었는데 원래는 억새와 겨릅이었다고 한다. 합각 양쪽에는 까치구멍이 있으며, 천장은 모두 반자를 설치하고 벽지로 마감해서 확인할 수 없다.

송이헌 가옥 평면도 송이헌 가옥 평면도

실별 특징

건물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방의 전면 출입구는 모두 세 살문인데 이 지역에서는 보지 못한 매우 세련된 창호 형태이다. 웃방은 아랫방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으며, 부엌에는 솥 2개를 걸 수 있는 부뚜막이 있다. 건물의 전면과 후면에 툇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둥을 한 줄로 박아 그 위로 도리를 올리고 서까래를 이어 달았다.

가구상세 1 가구상세
가구상세 2
부엌 부엌
김치광과 장독 김치광과 장독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