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채의 강원도 산간 주거 - 김진용 가옥

처음으로

굴피집 icon김진용 가옥

위치/내력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상마읍리(조사 당시 노곡면 상마읍리 궁터)에 위치해 있었다. 상마읍리는 신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문의재 터널을 지나면 상마읍리가 나온다. 문의재 터널에서 나와 문의재로를 따라 약 5.9km를 가면 길가 왼쪽에 상마읍교가 나오는데, 상마읍교를 지나 오른쪽 길을 따라 약 520m를 가면 김진용 가옥터가 나온다. 김진용 가옥은 조사 당시 집주인의 말에 따르면 1907년에 신축됐다고 한다.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배치도)

배치/평면/구조/지붕

정면 3칸 측면 3칸 집으로 정방형에 가깝다. 주 출입방향을 중심으로 제일 안쪽으로 웃방, 도장방, 사랑방이 있고 그 앞에 안방, 툇마루, 봉당, 제일 앞쪽에 부엌, 봉당, 외양간이 있다. 구조는 평주 5량집으로, 중보와 중도리가 만나는 곳에 동자주를 세우고, 기둥과 보, 도리가 겹치는 곳에 보아지를 설치했는데, 모두 사괘맞춤으로 정교하게 짜맞추어져 있다. 초석은 모두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덤벙주초이다. 지붕은 너와지붕으로 합각이 있는데 까치구멍으로 열어 두었다. 천장 방마다 고미반자로 마감했다.

김진용 가옥 평면도 김진용 가옥 평면도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평면도)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종단면도) 김진용 가옥 조사야장(종단면도)
가구 상세 가구 상세
가구 상세(단장혀) 가구 상세
(단장혀)
초석 초석
고미반자 고미반자
지붕 상세 지붕 상세
지붕 및 담장 지붕 및 담장
헛간채 헛간채
방앗간 방앗간

실별 특징

사랑방과 안방, 웃방에 외부와 출입할 수 있는 외여닫이문이 있다. 웃방은 안방이나 외부를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다. 마루는 ㄱ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안방, 도장, 사랑방과 연결되어 있다 사랑방에는 바깥쪽으로 쪽마루 대신 통판으로 된 커다란 나무를 가져다 놓았다. 부엌에는 안방쪽으로 솥 3개를 걸 수 있는 부뚜막이 있다. 부엌과 봉당사이에는 반 칸쯤 토벽을 설치하여 구분하였는데, 토벽에는 화창(두둥불)을 설치하였다. 봉당은 마루 앞에 있다. 외양간 상부에는 다락을 만들어 소여물이나 농기구를 보관했다. 사랑방과 연결된 부뚜막에는 솥 1개를 걸 수 있는데, 소여물을 끓이는데 사용했다. 변소는 별채로 있다.

부엌 부엌
화티 화티
두등불 두등불
성주 성주

현황

김진용 가옥은 현재 사라져 가옥터만 남은 상황이다.

김진용 가옥 집터
구용수 가옥 민영수 가옥 박귀동 가옥 박영근 가옥 임상규 가옥
김완택 가옥 손광춘 가옥 송이헌 가옥
강봉문 가옥 김영진 가옥 김진호 가옥 박장수 가옥 박정호 가옥 이상복 가옥 이인수 가옥 이종옥 가옥 대이리 굴피집 윤태한 가옥 김진용 가옥 이종석 가옥 김형출 가옥

『강원도 조사 가옥』